지구에 관하여!
현재 인간이 공존하고 의식주를 해결하기가능하며, 살아 숨쉬는 행성, 태양계에서는 아주 작은 별이지만 지구전체를 알기에는 너무나도 먼 그런 행성...
플라톤은 지구가 구형이라고 정확하게 추론하곤 했지만 이 아이디어는 뿌리를 내리고 훨씬 나중에 증명이 될거라는 과학자들의 소견도 나왔다.
사실 지구가 둥글다 네모다 라고 추측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본인은 뭐가됬건 상관없다고 생각해요 ㅎㅎ
지구 라는 이름은 적어도 1000년이 넘으며 간단히 땅으로 번역되는 게르만어 이기도 합니다.
누가 그것을 알았는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리스 또는 로마신의 이름을 따는게 행성들의 이름이 지어진게 아닌가 싶기도 해요
지구와 동등한 그리스어는 가이아 이며 로마의 동등한 것은 Tellus 입니다.
지구는 태양계 성운의 영향으로 약 45억 년 전에 우주 시대의 거의 3분의1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이 된다고 하네요.
지구는 1AU 또는 1억4,100만 KM나 떨어진 태양에서 세번째의 행성입니다. 5번쨰로 큰 행성이며 지구상에서는 가장큰 행성이기도 하죠 ㅎㅎ
지구의 T는 적도 반경의 6.371KM/3.958 마일이고 극좌표가 6.356km/3.949마일 입니다.
이는 완전히 구형이 아니라 회전으로 돌출되어 있음을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지구의 지금은 12.742km라고합니다. 지구는 약 6.6톤의 성운과 약 2,600억 입방마일 1조 입방킬로미터의 부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 표면적은 약 1억 9천9백만 마일/1억5천 5백만 평방 킬로 미터 나 된다고해요!
표면의 약71%는 물로 되어있고 29%는 육지로 되어있습니다.
물 소금 담수 얼음 빙하 호수 강 지하 등등이 같이 있는곳이 지구이기도하지요
토지와 관련해서 아시아 대륙은 전세계 인구의 약 60%를 차지하며 전체토지의 30%를 차지합니다.
지구의 대기는 78%의 질소 21%산소 등이있고 다른 가스와 수중기로 구성이 되며 가스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공기로 알려져있습니다.
우리가 숨을 쉬는 이유!
지구의 대기 두께는 약60마일/96킬로 미터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대류권 성층권 중권권 열권 외 전리권의 6층으로 나눠지게 되어있는데요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온도는 화씨 섭씨 48도에서 110도 이상까지 도달할수 있다고 하네요 영하 126도에서 화씨-88도로 가장 낮게 내려갈 수도 있다고 하네요!!.
지구는 태양계의 모든 행성과도 같이 중력을 가지고 있고
지구의 핵이 단단하고 반경이 1.221km인 약759마일의 철과 니켈로 만들어진것을 암시할수 있는데요
내부코어와 함께 지구에는 외부 코어가 있으며 껍질은 맨틀과 가장 두꺼운 층이라고도 하네요 2.800km의 두께 용융암석의 점성 혼합물이고
카라멜의 일관성도 있다고 하네요 지구의 지각인 가장바깥층은 육지에서도 평균 30km깊이에 있다고 하네요...
바다의 바닥에서 지각은 더 얇아서 해저에서 맨틀까지 약 5km정도 뻗어있다고 합니다.
지구에서는 위성하나, 달과 인공위성이 몇개 있습니다. 지구의 축은 태양주위의 궤도면에서 23.5도 기울어져 있고 기울기는 22.1도에서 24.5도까지
다양하게 되어있어 계절을 일으키는 겁니다.
40,000년 마다 한번씩 위치가 변경된다고도 하는데요!
지구는 23.9 우리가 흔히말하는 24시간마다 한번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을 완료한다고 합니다.
일주일에 한번의 궤도 태양을 돌아다니는 여행은 365일 이내에 완료가 되어 1년을 365일로 칭하게 되기도 했지요 ㅎㅎ
지구의 궤도는 타원형이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기권이 태양 및 우주입자 방사선에 대한 보호막 역할을 하고도 한다고 하네요!
이는 생명이 발달한 이유중의 하나라고도 하는데요!
고대부터 지구는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다른 천체와 함께 우주의 중심에 있도록 배웠습니다. 일부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었지만
플라톤과 같은 고대 그리스인들은 지구가 구체라고 올바르게 추론하고도 했습니다.
그리곤 얼마뒤 그리스 천문학 자 프톨레마이오스는 행성이 작은 구체에 있고 지구를 공전하면서 원을 만들었다 라는 의견을 얘기하고도 했지요
지구에 대해서 깊게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빠지는건 당연하듯 한데요 ㅎㅎ
가끔 뉴스를 보게되면 지구와 같은 행성을 찾곤 했다고도 하는데 과연 우주 어딘가에서 지구를 지켜보는 사람또는 외계인들이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하네요 ㅎㅎ
이래서 다들 과학에 빠지는 가 봅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밝은 행성은 금성이다 (0) | 2020.06.21 |
---|---|
가장 뜨거운 우주의 행성 태양을 알아보자 (0) | 2020.06.21 |
그것이 알고 싶다 우주의 달이란 (0) | 2020.06.21 |
목성 Jupiter 의 과학 (0) | 2020.06.21 |
우주의 행성 토성에 관하여 (0) | 202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