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에 관하여 (JUPITER)
저의 천문학 별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주피터! 입니다.
그냥 바라볼 때에 색상이 맘에들어 좋아하곤 해요 ㅎㅎ
자자 이제 제대로 목성의관하여 알아 볼까요.?
목성.
하늘에서 네번째로 밝은 물체이기 때문에 목성은 고대부터 관찰이 되었다고해요.
아무도 발견하지 못했을 때 갈릴레오 갈릴레이라는 과학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610년에 갈릴레이 갈릴레오는 목성의 주요 위성을
발견했답니다. 주요위성을 발견하곤 작은 위성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하네요 ㅎ
많은 문화권에서는 목성이 관찰 되었기 때문에 모두 다른이름을 부여했다고 하는데 로마이름은 대부분의 문화에서 그대로 사용되어
목성은 그리스 신 제우스와 동등한 로마 신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목성은 5개의 가시성 행성 중 하나라고 하네요
평균 거리 5.2AU에서 태양에서 다섯번째로 먼거리이며 가장 가까운 접근 방식은 4.9AU이며 행성이 지속적으로 추적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온라인으로도 확인 할 수 있다고 합네요!
목성은 태양계의 가장 큰 행성으로 평균 반경은 43.440마일 이며 적도의 직경이 882.984 마일이고 극에선느 직경이 133.708km에 불과하다고 하네요.
목성은 또한 지구의 318배 엄청크네...
318배에 달하며 다른 모든 행성의 두배라고 하네요!!
중력으로는 지구의 두배 이상입니다. 날아다니겟따..
목성은 10시간 마다 한번씩 회전하므로 태양계에 있는 모든행성중 가장 짧은날이 있다네요
지구 나이로는 약 12년으로 짧은날과 비교하면 상당히 길게 느껴지지만 목성은 3.13도의 작은 축경사를 갖기 때문에 계절적 변화가 거의 없다고합니다.
태양과 매우유사한 소용돌이 형 가스와 90%의 수소 10%의 헬륨과 같은 액체로 구성된 고체적인 표면은 없다네요.
대기의 아주작은 부분은 암모니아, 황, 메탄 및 수증기와 같은 화합물로 구성이 되며, 목성의 대기는 태양계에서 가장큰 행성의 대기입니다.
목성은 다크네요...
거의 전체행성을 구성하고있으며 망원경을 통해 관측 된 후 우주 탐사 역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합니다.
달의 일부분이 발견되기도 하고 이로인해서 움직임이 관찰되어 모든것이 지구를 공전한다는 믿음의 끝이 나기도 했다고 합니다.
현재 목성은 82개의 달이있는 토성에 의해 달의 왕으로 추방되었습니다 목성은 현재 알려진 위성에서는 79개뿐이며 이 위성들중에서 4개는 매우 유명합니다.
화산활동, 크기 어떤행성의 가장큰 달인 유로파. 지구에 적합한 오늘날의 환경을 찾기위해 유리한 조건을 주최하며 지구너머의 삶 그리고
칼리스토 라는 지하바다를 호스팅 할수 있는 위성으로 알려져있다고 합니다.
목성은 3개의 링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토성보다 작고 작다네요
그들이 대부분 먼지와 작은 바위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하고 지구의 자기장보다 거의 20배는 더 강력하고 20,000배는 더큰 자기권을 가지고 있다고합니다.
결과적으로는 목성의 오로라역시 엄청 강할것으로 알려져있는데요. 지구의 오로라가 백만메가와트를 생산한다고 합니다.
특징.
목성의 독특한 특징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안티 사이클론 폭풍을 일으키는 대기의 지속적인 고압 지역인 그레이트 레드스팟 이라고 알려져있는데요.
그레이트 레드스팟은 1830년 이래로 관찰 되어있으며 수백 년 동안 활동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축소되고 있다고합니다 목성이 강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플라즈마 원환체로 둘러싸여 있고
우주선이 행성에 접근하는것을 어렵게 만드는 매우 하전된 입자의 필드 이지만 일부지역은 조금더 안전하다고 하네요...
하전입자는 또한이오의 화산활동에서 비롯되기도 하는데 플라즈마 토러스에서 강력한 자기장과 하전 입자의 조합은 태양계에서 가장 밝은 오로라를 만든다고도 하네요!!
슬프지만 그아름다울 오로라를 자외선을 통해서만 볼수 있다고 하네요 ㅎㅎ
신화 그리스의 왕 제우스의 대응자이기도하다고 하는 목성!
고대 그리스인들을 목성을 판테온 이라고 부르기도 했다는데요!! 로마 판테온의 최고 신인 목성은 천둥 번개 및 폭풍우를 일으키는 신이었으며 적절하게
빛과 하늘의 신 이라고 불렸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천문학 별중에 하나인 목성이 이렇게 대단한 건 어느정도 알고잇었지만 알아가며 다시 되배우는 과정에서의 즐거움은 이루 말할수 없네요!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밝은 행성은 금성이다 (0) | 2020.06.21 |
---|---|
가장 뜨거운 우주의 행성 태양을 알아보자 (0) | 2020.06.21 |
그것이 알고 싶다 우주의 달이란 (0) | 2020.06.21 |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어떨까 (0) | 2020.06.21 |
우주의 행성 토성에 관하여 (0) | 2020.06.21 |